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News

(주)에이치엔에이파마켐의 새로운 소식을 만나보세요. view more

바르셀로나 2023 IFSCC서 새로운 피부전달체 기술 발표

(주)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미래 화장품 신소재로 각광받을 수 있는 피부전달체인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MOFs ▲폴리머좀(Polymersome) ▲쿠커비투릴을 사용한 캡슐레이션(Cucurbituril Encapsulation) ▲LDH-리포좀 하이브리드 기반 캡슐레이션 ▲클레이좀(Claysome)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주)H&A파마켐 유효경 대표이사는 "이번 2023 IFSCC 논문 발표를 통해 미래의 화장품에 대한 피부전달체의 소재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고 보고 있으며 더욱 경쟁이 심화되는 세계 화장품 시장에 K-뷰티가 다시 성장할 수 있는 씨앗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다공성 구조 특성을 지닌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생체적합적이며 넓은 표면적을 지녀 외부 환경에서 불안정한 소수성 성분을 포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해 CD MOF를 합성한 후 바쿠치올을 캡슐화하여 빛과 열 뿐 아니라 수용성을 높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켰다.폴리머좀은 양친매성 고분자로 구성된 자가조립 구조이며, 리포좀에 비해 안정성과 캡슐화 효율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블록 공중합체와 오일을 사용해 폴리머좀을 합성해 폴리머좀의 제타 전위, 입자 크기와 유변학적 특성을 통해 폴리머좀의 안정성을 비교 분석했다.글라이코우릴 단위로 구성된 쿠커비투릴은 호박과 같은 모양을 가진 대칭적 구조의 마크로사이클 구조체이다. 쿠커비투릴은 다양한 사이즈와 넓은 표면적을 지니고 있어 활성물질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쿠커비투릴 내에 레탄알을 담지해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제형에 적용하였을 때, 안정성이 증가함을 확인했다.POROUS LDH(다공성 LDH)는 점토 형태로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고 큰 비표면적으로 다량의 유효성분을 포집 할 수 있는 소재이다. 자외선 차단제인 아보벤존을 포집 했을 때 일반 층상형 LDH 보다 2배 이상 높은 포집력과 열적 안정성 또한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확인했다. 이 외에도 레티놀, 히알루론산 등의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포집할 수 있으며 보습과 역가 안정성 개선됨을 확인했다.
2025-03-11

산자부 바이오헬스 R&D 우수기업 수상

▲ H&A파마켐이 지난 7일 서울 웨스턴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진행된 산업통상자원부 시행 2022년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우수기업 표창을 수상했다.[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H&A파마켐(대표 유효경)이 지난 7일 서울 웨스턴조선호텔 오키드룸에서 진행된 산업통상자원부 시행 2022년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우수기업 표창을 수상했다.이번 시상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바이오헬스분야 산업발전에 기여한 우수 R&D 기업과 연구자의 공로를 치하하며 바이오헬스 산업계의 사기진작을 도모하고자 기획됐다. 시상은 바이오헬스 분야(바이오, 의료기기, 헬스케어) 기업, 연구자 12명에 대해 이뤄졌다.H&A파마켐은 지난 2017년부터 5년 동안 ‘피부투과율이 향상된 피부 감응형 유무기 복합 전달 소재와 기능성 화장품 기술개발(Poly MOF, Poly LDH)’ 과제를 주관했으며 가톨릭대학교(나건 교수, 이종현 교수), 성균관대학교(김진웅 교수, 정지훈 교수), 한국원자력병원(박상준 박사), 수요기업으로 한국화장품, 셀트리온 등이 참여했다. 총사업비는 62.47억 원으로 과제를 진행했다.사업화 성과로는 매출액 20억 원 이상, ICID 등재 11건, 논문게재 13건, 학술대회 발표 36건, 국내 특허출원 15건, 국외 특허출원 10건, 특허등록 5건 그리고 고용 23명 달성 등 성공적인 과제를 수행했고 이를 인정받아 수상을 하게 됐다.▲ H&A파마켐은 지난 2017년부터 5년 동안 ‘피부투과율이 향상된 피부 감응형 유무기 복합 전달 소재와 기능성 화장품 기술개발(Poly MOF, Poly LDH)’ 과제를 주관했으며 총사업비는 62.47억 원으로 과제를 진행했다.이날 시상식에 참석한 H&A파마켐 유효경 대표는 “이번 수상을 통해 바이오헬스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는 화장품분야가 어려운 환경을 이겨내고 도약하는 2023년 새해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25-03-11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영국 IFSCC 2022서 "미래형 피부전달체" 4개 기술 발표

▲ 화장품 원료 연구개발 생산 전문기업 (주)H&A파마켐이 지난 9월 19일 부터 22일 까지 진행된 IFSCC Congress 2022 런던(영국)에서 포스터 4편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이미지 출처 : (주)H&A파마켐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화장품 원료 연구개발 생산 전문기업 (주)H&A파마켐(대표 유효경)이 지난 9월 19일 부터 22일 까지 진행된 IFSCC Congress 2022 런던(영국)에서 포스터 4편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미래 화장품 신소재로 각광받을 수 있는 피부전달체인 ▲지질나노입자(LNPs) ▲폴리머좀(Polymersome) ▲엑소좀-리포좀 하이브리드 시스템(Exosome-Liposome Hybrid System) ▲유기-금속골격체(MOFs) 기반 캡슐레이션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해당 기술은 화장품에서 안정화가 가장 어려운 물질로 알려진 레틴알, 레티놀, 엑소좀, 글라브리딘 등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며 앞으로 화장품 안정화 소재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H&A파마켐 유효경 대표는 “이번 IFSCC 논문 발표를 통해 미래의 화장품에 대한 피부전달체의 소재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고 본다”며, “한국의 화장품 산업이 세계를 이끌 획기적인 기술이라 판단하고 화장품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화장품 원료 연구개발 생산 전문기업 (주)H&A파마켐이 지난 9월 19일 부터 22일 까지 진행된 IFSCC Congress 2022 런던(영국)에서 포스터 4편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이미지 출처 : (주)H&A파마켐 ■ IFSCC 2022 H&A파마켐 포스터 발표 내용 요약1. Encapsulation of the Retinal using the Charged Lipid Nano Particles (LNPs)코로나 백신으로 잘 알려진 LNPs, 지질나노입자(Lipid Nanoparticles, LNPs)는 난용성 혹은 불안정한 물질을 봉입할 수 있는 지질막으로 이루어진 입자성 나노 전달체이다. LNP의 구성 성분은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전하를 띠는 지질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주로 백신 전달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성분에 마이크로플루딕스라는 기법으로 LNP를 형성하고 외부 환경에 불안정한 비타민 A 계열의 레틴알 성분을 캡슐레이션해 안정화와 피부전달 시스템을 개발했다.2. Polymersome : Stabilization of Amphiphilic Block Copolymer Nanoparticles고분자와 지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는 리포좀과 고분자 나노입자에서 파생된 코어-쉘 나노 구조로 고분자 코어와 지질 이중층으로 둘러쌓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과 피부 투과성을 높이고 지질 유사 생체 적합성과 고분자의 생분해성 특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고분자-지질 하이브리드를 제조해 화장품에서 대표적인 불안정한 활성 물질인 레티놀을 하이브리드 구조에 포집하고 일반 리포좀과의 안정성을 비교 분석했다.3. New delivery carrier : Exosome-Liposome hybrid systemExosome-Liposome hybrid는 세포외소포체로 알려진 ‘엑소좀’과 ‘리포좀’을 융합해설계됐다.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파마켐의 독창적인 식물 유래 엑소좀은 자연 산물로서 독성이 없으며 피부는 물론 기타 세포내로 흡수가 가능해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풀에서 파생된 엑소좀을 리포솜과 혼성화해 피부 전달 시스템 모두의 장점을 취했다. 또 나노 입자 고유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소포막을 형성하기 위해 고압유화기법에 의해 하이브리드 지질을 개발했다.▲ S. Rayamajhi et al. / Acta Biomaterialia 94 (2019) 482–4944. Encapsulation of the Glabridin using the gamma-Cyclodexrin based MOFs(COFs)MOFs(Metal-Organic Frameworks)구조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골격체 내부에 활성 물질 캡슐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gamma-Cyclodexrtin)을 이용해 생체 적합하고 독성이 없는 MOF 구조를 형성하고 그 안에 글라브리딘(Glabridin) 물질을 캡슐레이션시켜 구조적 특성과 안정성을 분석했다.이러한 MOFs는 기존의 제품대비 80배 이상의 침투효과가 있었다.
2025-03-11

H&A파마켐, 2021 인코스메틱코리아 CD-MOF, 3D 바이오프린팅 신기술 소개 주목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주)H&A파마켐(대표 유효경)은 7월 14일 부터 17일까지 코엑스에서 진행된 2021 인코스메틱 코리아(in-cosmetics korea)에서 이노베이션 존(innovation zone)에 화장품 최신 신기술을 소개해 호평을 받았다.이번에 소개한 기술은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해 기능성화장품 소재를 안정화시키고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CD-MOF, Chito CD-MOF, CD-MOF Retinal 기술과 레틴알이 함유된 3D바이오프린트용 잉크와 바이오프린터를 이용한 고체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맞춤형화장품에 사용이 가능한 3D 바이오프린팅(3D Bioprinting) 기술 등이다.# CD-MOF, Chito CD-MOF, CD-MOF Retinal, 기능성화장품 소재 안정화 피부 효과적 전달 기술이 기술은 유무기 복합 소재를 이용해 기능성화장품 소재를 안정화시키고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이다. γ-CD(γ-Cyclodextrin)를 이용해 MOF를 합성하고 pH감응형 고분자인 Succinated Chitosan를 부착시킨 Chito-CD MOF 복합소재를 개발해 생리활성물질인 레티놀, 레틴알, 유용성 감초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복합소재에 담지해 안정화했다.전자현미경, HPLC 분석을 통해 생리활성물질이 포집된 것을 확인했고 피부감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온도와 pH에 따른 방출률 실험을 진행해 확인한 결과 원료 안정성은 높이고 피부 깊숙하게 액티브 물질을 침투함을 확인했다.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략적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으로 진행했으며 (주)H&A파마켐, 가톨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화장품제조, 셀트리온이 공동으로 5년간의 연구를 통해 개발한 소재안정화 신기술이며 대량화에 성공해 판매하고 있다.▲ Multi-Bioencapsulation 복합소재 SEM측정. (a) CDMOF, (b) Chito-CDMOF,  (c) Chito-CDMOF/Glabridin, (d) Chito-CDMOF/Retinol
2025-03-11

H&A파마켐, 2021 IFSCC 콘그레스 칸쿤 포스터 4편 발표 주목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화장품 원료 연구개발 생산 전문기업인 (주)H&A파마켐(대표 유효경)은 2021년 10월 18일부터 28일까지 멕시코 칸쿤(CANCUN)에서 진행된 IFSCC Congress 2021 CANCUN에서 포스터 4편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 펜데믹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이번 포스터 발표는 화장품에 사용하기에 불안정한 소재를 안정화하는 최신 기술에 대해 발표가 이루어졌으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해 COFs(gamma-Cyclodextrin based MOFs)를 형성해 레틴알을 캡슐화해 안정화했으며 큐브좀을 글리세릴모노올리에이트와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해 만들어 레틴알을 안정화하고 피부흡수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했다.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DDS가 가능한 레틴알 캡슐레이션을 연구개발해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소재를 개발했으며 LDH(layered double hydroxide)를 이용해 Palmitoyl-ReGenerated Peptide(pal-RGD)와 레티놀 포집된 리포좀의 흡수와 방출을 연구해 pH에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화장품 소재를 발표했다.(주)H&A파마켐(대표이사 유효경)는 이번 IFSCC 논문 발표를 통해 자사의 우수한 소재 안정화 기술을 보여줄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며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화장품 소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화장품 완제품 개발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밝혔다.■ IFSCC Congress 2021 CANCUN H&A파마켐 포스터 발표 내용 요약#1 Encapsulation of the Retinal using the gamma-Cyclodextrin based MOFs(COFs)MOFs(Metal-Organic Frameworks)란 금속-유기 골격체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골격체 내부에 활성 물질 캡슐레이션이 가능한 물질이다. 식품, 화장품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도 MOF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MOF의 특성을 가지면서도 독성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번 연구에서는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해 COFs(gamma-Cyclodextrin based MOFs)를 형성한 뒤 불안정한 물질 중 하나인 비타민 A 계열의 레틴알을 캡슐레이션해 그 구조와 특성을 분석했다. 안정도 확인 시, 90일 동안 75% 이상 역가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Figure 2. SEM images of COFs; (a)gamma-cyclodextrin, (b)retinal, (c)COF, (d)COF-Retianl#2 Stabilization of Vitamin A Using the various cubosomes큐보좀은 모노올레인과 같은 양쪽성 지질을 이용해 정육면의 입방체의 구조로 형성된 베지클을 말한다. 큐보좀은 화장품, 제약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물질로 약물과 활성 성분을 담지하는데 많이 응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글리세릴모노올리에이트와 3가지 고분자를 이용해 큐보좀을 형성하고 레틴알을 담지해 안정도와 경피흡수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중 폴록사머 188을 사용한 큐보좀이 가장 안정적이며 높은 피부 흡수율을 보였다.#3 Retinal Stabilization Study using Three-dimensional Bio Printing3D 바이오프린팅은 3차원으로 모델링된 디지털데이터를 분말, 액체, 고체 형태의 다양한 소재로 한층 한층씩 적층(Layer by Layer)하여 물체를 제조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3D 바이오프린팅은 제약에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DDS(Drug Delivery System)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3D 프린팅을 활용한 DDS기법은 계면활성제 없이 가능하며 활성물질을 특정 분포로 설정할 수 있으며 원하는 모양으로 적층 가능하다. 또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진다. 이번 연구에서는 화장품에 응용하기 위해 물에 잘 용해될 수 있도록 폴록사머와 같은 고분자를 이용해 레틴알을 캡슐레이션했다.▲ Figure 2. Images of the 3D printed Retinal 3DP dosage forms #4. Nanocomposite of layered double hydroxide and chitosan polymer for delivery of retinol and Pal-RGD (가톨릭대학교 이종현 교수팀 공동연구)점토(LDH) 나노시트와 키토산 고분자를 사용해 물에 분산되는 나노 리포좀을 포집할 수 있는 친환경 다공성 흡착소재를 개발했다. LDH-키토산 복합소재는 독특한 내부구조 때문에 20~500나노미터 크기의 리포좀을 고르게 흡수할 수 있다.이번 연구는 Palmitoyl-ReGenerateD Peptide(pal-RGD)와 레티놀 포집된 리포좀의 흡수와 선택적 방출을 관찰했다. 복합소재는 약 80% 이상 높은 리포좀 포집율을 보이고 용액의 pH에 따라 방출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했다. LDH-키토산 복합소재는 LDH 표면에 결합한 키토산 고분자의 그물망 구조와 표면 양전하 때문에 pH에 따른 선택적 방출이 가능하다.
2025-03-11

원료 신기술 미국, EU 특허취득 기술 우수성 입증

▲ H&A파마켐이 ‘포스파티딜세린/음이온계면활성제/염화칼슘을 이용한 코킬레이트(Cochelates Using Phosphatidylserine/Anionic Surfactant/Calcium Chloride)’ 특허를 국내에 이어 미국과 EU에서도 취득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H&A파마켐(대표 유효경)이 미국과 EU 특허를 취득해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H&A파마켐이 취득한 특허 제목은 ‘포스파티딜세린/음이온계면활성제/염화칼슘을 이용한 코킬레이트(Cochelates Using Phosphatidylserine/Anionic Surfactant/Calcium Chloride)’며 국내에서는 이미 2019년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 거기에 이번에 미국 특허까지 취득하게 되면서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한 것이다.해당 발명은 포스파티딜세린과 음이온계면활성제 그리고 염화칼슘을 이용한 코킬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코킬레이트 기술은 1970년대 중반에 개발돼 약물 전달에 사용돼 왔다. 또 경구용으로 사용 가능성과 향상된 안정성으로 약물 전달에 많은 관심을 받아 다양한 기능성화장품 약리활성물질을 전달하는 훌륭한 전달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피부투과율이 향상된 피부 감응형 유무기 복합 전달 소재 및 기능성화장품 기술개발’ 과제로 진행됐다.한편, H&A파마켐은 지난해 11월 EU로부터 ‘나노에멀젼 및 개질된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경피 전달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ansdermal Delivery, Comprising Nanoemulsion and Modified Layered Double Hydroxide)’를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이 발명은 레티놀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에 관한 것으로 레티놀과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피토스테롤, 마카다미에이트 그리고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물을 포한하는 레티놀 함유 나노에멀젼 층상 레티놀 함유 멀리라멜라 소포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특히 빛이나 열에 약한 레티놀(retinol)이나 레티날(retinal)을 더욱더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레티날 안정화 제품이 시장에 출시돼 호평을 받고 있다. 해당 기술은 보건복지부 글로벌화장품신소재 신기술연구개발사업으로 ‘LDH(Layered Double Hydroxide)의 Bioencapsulation을 이용한 다양한 원료 및 신제형 개발’ 과제로 진행됐다.(주)H&A파마켐 유효경 대표이사는 “미국특허와 유럽특허 획득은 자사 기술의 우수성은 물론 한국 화장품 기업의 노력의 결과로 본다”며, “더욱 노력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고 화장품 산업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2025-03-11

"미래형 피부전달체" 신기술 미국, 국내 특허취득

H&A파마켐이 미국에서 취득한 이번 특허는 ‘금속-유기 골격체 및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경피전달용 복합체(Transdermal Delivery Complex Using Metal-Organic Framework and Nanocellulose)’이며 국내에서는 이미 2021년 특허를 취득(특허번호 : 10-2212226)하고 이번 미국 특허(특허번호 : US 11,331,261 B2호)를 통해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한 것이다.이번 특허는 금속-유기 골격체(MOF)와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경피전달용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화장품 조성물과 경피전달용 복합체 제조에 관한 내용이다. 해당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피부투과율이 향상된 피부 감응형 유무기 복합 전달 소재 및 기능성화장품 기술개발’ 과제로 진행됐다.또 H&A파마켐은 지난 6월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는 3중층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Tri-Layered Liposome Composition Comprising Cationic Polymer Conjugate and Liposo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특허번호 : 10-2415735호) 특허를 취득한 바 있다.해당 특허는 리포좀을 정전기적 결합을 통해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로 코팅한 3중층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양이온성 고분자가 피부에 오랫동안 접촉해 피부 흡수를 향상시키고 불안정한 물질인 레티놀, 글라브리딘을 3중 리포좀으로 만들어 안정화시키는 기술이다.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기술성과활용촉진사업 상용화개발지원사업으로 ‘터플러좀 : 피부 장기 체류형 양이온성 고분자 접합체 코팅 리포좀’의 과제로 진행됐다.H&A파마켐 유효경 대표는 “이번 미국특허와 국내특허를 획득하고 올해 IFSCC 2022 런던에서 자사의 핵심 기술 성과물인 ‘미래형 피부전달체’를 발표할 수 있어 영광이다”며, “이는 한국의 화장품 산업의 발전과 더 나아가 미래의 화장품 기술을 이끌 수 있는 핵심 기술로 나아갈 것이며 해당 기술을 통해 화장품 산업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2025-03-11

화장품 원료의 혁신,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지난해 열린 인코스메틱스코리아에 참가한 ㈜에이체엔에이파마켐 부스㈜에이치엔에이파마켐(대표 유효경)은 2002년 3명의 연구원들이 설립했고, 특수 화장품 원료를 연구개발하고 공급하는 기업이다. 전 사원의 60%가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을 정도로 연구개발 분야에 특화된 기업이고, 업력이 말해주듯 오랜 기간 화장품 원료업계에서 자사만의 독창적인 분야를 개척해왔다.■바이오인캡슐레이션·그래픽에센스·3D 바이오프린터 등 독자기술㈜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차별화된 기술들도 보유하고 있다. 그래픽 에센스(Graphic Essence)는 로봇을 이용하여 화장품에 다양한 모양의 그래픽을 구현해준다. 이 기술은 화장품의 가치를 쉽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또한, 3D 바이오프린터(3D Bio-Printer) 기술은 화장품 유효성분을 3D 프린터로 안정화시키는 최신 기술이다. 2021년 In-Cosmetics Korea의 이노베이션존에서 발표했고 관련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다. ㈜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국내 화장품 대기업, 유명 OEM·ODM사, 해외 유명 브랜드사와 협력하고 있으며, 수출 및 홈쇼핑 시장에도 진출했다.또한, ㈜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다수의 특허와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책과제에도 참여했다. ㈜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존중’의 창립이념으로 시작한 열정과 노력을 계속 이어가며, 화장품 원료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다수 특허와 인증, 국책과제 참여로 기술력 입증㈜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화장품 원료 분야에서 특허와 인증을 통해 자사의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27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나노입자화된 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다. 이 조성물은 구강 내 세균을 억제하고, 치아를 밝게 하며, 구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또한, ㈜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국책과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총 7건의 국책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경기도기술개발사업이다. 이 사업은 경기도의 지역특화산업을 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이 사업을 통해 화장품 원료의 혁신적인 개발과 공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에이치엔에이파마켐의 대표적인 기술은 바이오인캡슐레이션(Bioencapsulation) 기술이다.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기술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효성분을 작은 입자로 감싸서 안정화시키고, 피부에 흡수되기 쉽게 만든다.이 기술로 화장품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고, 제품의 안정성과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에이치엔에이파마켐은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화장품 원료를 개발했다. 예를 들어, 리포좀(Liposome), 나노에멀젼(Nanoemulsion), 비드(Bead), 동결건조(Drysome) 등의 제품들은 모두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기술의 적용 사례다.
2025-03-11

국가 R&D과제 성공 특허 2건 취득 미래기술 획득

수국형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제조 방법과 페오포르비드 A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지질 유체의 결합체를 함유하는 항균 리포좀 조성물 등 국내 특허 2건을 취득했다. 우선 수국형 층상 이중 수산화물의 제조 방법 특허는 공침법을 이용해 비표면적이 넓은 수국형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다.비표면적이 넓은 다공성 클레이를 이용해 자외선차단 클레이좀, 원료 안정화 클레이좀, 클레이 스크럽비드, 클레이 보습제 등 원료개발 4건, 성능평가 5건 자외선차단 부스팅, 각질개선, 인체첩포시험, 수분함량 개선, 안정성 등의 연구개발 성과를 올렸다. 또 ICID 원료 등재와 국내외 학회 발표 6건, SCIE 논문발표 2건 등의 성과도 거뒀다.특히 2023년 대한민국 기술사업화대전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연구개발 성과물인 CLAYSOME-1789, CLAYSOME-HA, CLAYSOME-RETINOL, CLAY SCRUB BEAD 등의 원료소재를 전시, 홍보하기도 했다. 이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R&D 재발견프로젝트 사업으로 클레이좀 피부 저자극성 유도를 위한 친환경 다공성 점토를 이용한 바이오인캡슐레이션 과제로 2022년부터 12개월 동안 진행됐다.페오포르비드 A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지질 유체의 결합체를 함유하는 항균 리포좀 조성물은 광민감성 물질인 페오포르비드 A를 피부내로 효율적으로 전달해 뛰어난 항균 작용을 보임으로써 여드름 등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이다.이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의 핵심소재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클로린계 광의학 피부의용제 개발 과제로 3년간 진행했고 이를 통해 특허를 획득했다.
2025-03-11

2019 H&A Pharmarchem News

2019년 경기도 유망중소기업 인증저희 (주)에이치엔에이파마켐이 2019년도 경기도 유망중소기업인증을 받았다는 기쁜 소식입니다.유망중소기업 인증제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소기업을 발굴, 인증함으로써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이끌 강소기업으로 육성하고자 경기도가 시행중인 제도입니다.유망중소기업 인증제에는 올해는 600여개가 넘는 기업들이 신청해 경쟁이 치열했다고 합니다.앞으로는 경기도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유망한 기업이 되길 희망해 봅니다.2019년 K-Brain Power(두뇌역량우수전문기업) 인증 저희 회사가 2018년도에 이어 올해에도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선정한K-Brain Power(두뇌 역량 우수전문기업)으로 재 인증 받았습니다.K-Brain Power는 ‘산업적 파급효과가 큰 두뇌산업 전문기업을 선정·육성하여,산업전반의 고부가가치화 실현 및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고급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고 있는 기업을 선정해 인증하는 제도입니다.또한 바이오분야, 임베디드SW분야, 시스템 반도체 분야 등 전문지식,창의성 등 고급인력의 역량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산업분야에 속하는 기업들 중에서 선정된다고 합니다.두뇌역량이 우수한 H&A 파마켐!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EURO MOF 2019 학회참석당사가 지난 10월 27일~30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었던 Euro MOF 2019 컨퍼런스에 참석하였습니다.Euro MOF 2019 컨퍼런스에는 MOF, COF 및 다공성 폴리머 분야의 수많은 연구원과 석학들이 모여새로운 소재로서의 MOF의 가능성과 발전방향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합니다.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라는 것이 아직까지 일반 대중에게는 다소 생소한 개념입니다.MOF는 금속과 유기물을 결합해 공극과 표면적의 크기를 극단적으로 확장한 다공성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또한 그 응용분야가 바이오, 의약, 환경산업 등 매우 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저희 H&A 파마켐은 MOF의 화장품 분야에서의 활용가능성에 주목하여 다양한 연구활동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이번 Euro MOF 학회를 통해 저희 회사의 연구성과를 참석자들에게 홍보함은 물론,새로운 MOF 정보를 접할 수 있어서 매우 매우 유익했습니다.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선정한상공회의소가 선정하는 『일하기 좋은 중소기업』 사업에서 제조/화학업종 사내문화 우수 중소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25-03-11